알림·뉴스

국내외 기사

바이오 산업, '제2의 반도체' 될까...업계는 '글쎄'
국내
  • 작성자
  • 작성일자
  • 조회149

출처: 스마트에프엔

[원문바로가기]


바이오 산업, '제2의 반도체' 될까...업계는 '글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에 이어 제약·바이오 산업을 제2의 반도체로 키워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던 정부의 정책 기조가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권이 바뀔 때 마다 반복돼 왔던 보여주기식 정책이라는 곱지 않은 시선은 여전하다. 

더불어민주당은 제약바이오 강국의 기틀을 마련하고, 제약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을 지난 4.10 총선 공약으로 내세웠다.

민주당이 내세운 정책으로는 제약바이오 강국 기틀 마련, 제약기업의 사회적 책임성 강화 두 가지다.

이에 일환으로 ▲전략적 R&D 투자시스템 구축, 성과도출형 지원체계 강화 ▲글로벌 진출 신약에 적합한 맞춤형 약가제도 마련 ▲신약개발을 위한 공공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인공지능(AI) 활용 지원 등을 통해 국가 투자와 보상체계 마련 등을 내세웠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한 투자 확대와 약가제도 개선, 빅데이터 활용 지원 등을 요구해왔고, 필수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지원을 요구했는데, 이러한 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추진 방향으로는 ▲2030년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 ▲바이오신소재 산업 활성화 ▲바이오에너지 상용화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바이오경제 기반 구축 등 5가지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를 지난 2020년 43조원의 2배가 넘는 100조원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바이오산업 분야가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고 분석했다. 해당 근거로 바이오와 첨단 디지털 기술간의 융합이 가속화돼 수년이 걸리던 기술적 난제를 수분만에 해결하는 등 혁신적인 성과가 창출되고 있다.

또한, 바이오 기술이 고령화, 감염병, 기후위기 등 글로벌 난제를 푸는 핵심기술이자 기술패권 경쟁의 중요한 전략기술로 인식되면서 세계 각국은 바이오 핵심기술 유출을 제한하고, 바이오 기술주권 확보에 총력을 다하는 상황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 주제로 지난해 개최된 '바이오경제 2.0 원탁회의' /사진=연합뉴스


업계 반응 '글쎄'…"제약·바이오 강국 도약 위해 정부의 예산 지원 필수"

정부의 이러한 정책에도 업계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되풀이되는 육성 계획일 뿐"이라며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모양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신약 개발의 경우 막대한 비용과 연구 및 임상 시험 등을 위해 10~15년이라는 오랜 시간 공을 들여야 하는 분야"라며 "정부가 제시한 목표를 제대로 달성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지만, 실상으로 변한 것이 아무것도 없다"며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임상 등 비용이 많이 드는 만큼 정부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아직 총선이 끝난지 얼마 안됐기 때문에 추후 상황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대답을 아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에는 달라질 수도 있다'는 기대를 하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의 경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협회 관계자는 "여야 모두 R&D 투자 확대와 신약에 대한 약가 보상체계 개선 등 신약 개발 지원책에 대해 환영한다"며 "앞으로 수출 확대와 필수약 공급 안정성 제고, 자급화 기술개발 지원, 인센티브 강화 등의 공약이 실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